본문 바로가기

CFA Level 16

[CFA Level 1] Reading 47. Fundamentals of Credit Analysis Risk의 종류 Credit Risk는 채무자가 이자와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가능성을 의미한다. Default Risk : 채무자가 망할 리스크 Loss severity : 채무자가 망하게 되면 채권자가 잃게 될 금액 expected loss : loss severity에 default risk를 곱한 값 recovery rate : 채무자가 망하게 되면 채권자가 받을 수 있는 금액 Spread Risk란 credit spread가 벤치마크대비 커져서 채권의 가치가 떨어지는 가능성을 의미한다. Credit migration risk [downgrade risk] : 채무자의 credit이 떨어질 리스크 Market liquidity risk : 채권을 팔 때 유동성이 없어서 원하는 값보다 더 적게 팔.. 2023. 1. 31.
[CFA Level 1] Reading 46. Understanding Fixed-Income Risk and Return 채권 수익의 요소 채권투자의 수익 요소는 크게 아래와 같다. 쿠폰수익금과 원금 쿠폰 수익금의 재투자 만기전에 채권 매매를 통한 이익 및 손실 채권의 YTM이 변하면서 시장가격 리스크와 재투자 리스크를 가지게 된다. YTM이 올라가면 채권의 가격이 떨어지고, YTM이 낮아지면 채권의 가격이 커진다. 짧은 투자 기간 : 시장가격 리스크 > 재투자 리스크 긴 투자 기간 : 시장가격 리스크 < 재투자 리스크 맥컬리 듀레이션 [Macaulay duration]이란? 채권은 만기가 있다. 하지만 실제로 내가 투자한 금액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만기보다 짧다. 실제로 투자금액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"실질만기"를 맥컬리 듀레이션이라고 한다. 예를 들어 YTM이 5%이고 3년 만기 연 4%짜리 채권이 있다고 하자. .. 2023. 1. 28.
[CFA Level 1] Reading 45. Introduction to Asset-Backed Securities Securitization [자산유동화란]? Securitization [자산유동화]란 거래가 잘 안 되는 어떤 자산을, 주식이나 채권처럼 거래하기 용이하도록 바꾼다라고 생각하면 된다.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금융자산 [모기지 론, 자동차대출]등을 매수한 후 이런 금융자산들을 묶어서 또 다른 금융상품으로 발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산유동화라고 한다. 자산 유동화를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다. 유동화를 진행하는 곳에 금융상품을 팔매할 때 드는 funding costs를 줄일 수 있다 기초가 되는 금융 상품의 유동성(liquidity)을 늘린다 자산유동화 과정 자산유동화 과정을 아래의 예를 통해 알아보자 Fred Motor Company은 대부분의 차를 auto loan으로 판매한다. 소비자는 차를 구매하고.. 2023. 1. 26.
[CFA Level 1] Reading 44. Introduction to Fixed-Income Valuation 채권의 가격 채권의 가격은 채권에서 나오는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채권의 YTM을 활용하여 할인한 값이다. YTM이란 채권의 현금흐름을 현재 채권의 가격으로 할인시켜주는 수익률이다. 그래서 우리는 YTM을 알면 시장가격을 알 수 있고, 시장가격을 알면 YTM을 할 수 있다. 만기까지 N년이 남은 annual-coupon 채권의 가격은 아래와 같다. $$price = \frac{coupon}{(1 + YTM)} + \frac{coupon}{(1 + YTM)^{2}} + ... + \frac{coupon + principal}{(1 + YTM)^{N}}$$ 만기까지 N년이 남은 semiannual-coupon 채권의 가격은 아래와 같다. $$price = \frac{coupon}{(1 + \frac{YTM}{.. 2023. 1. 23.